飛 - '날다(비)’를 필순대로 써 보세요.
어떤가요? 바른 필순을 모르고, 필순이 익숙하지 않으면 글자를 빠르게 쓸 수 없을뿐더러, 글자의 균형까지 망가져 글자를 아름답게 쓸 수가 없습니다. 또한 매번 다른 순서로 한자를 쓴다면 그것은 문자를 쓰는 일이 아닌 그리는 일에 가까울 것이기 때문에 암기 역시 잘 되지 않을 것임은 분명한 일입니다.
한자를 쓸 때 바른 필순으로 써야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한자를 쓸 수 있으며, 한자의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암기에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.
한자의 필순에는 기본적인 원칙이 있습니다. 쉬운 글자를 통해 기본적인 원칙을 익히고, 획이 많은 글자까지 응용해 나가면 될 것입니다. ※ 원칙을 벗어난 예외적인 한자나 두 가지 이상 필순이 있는 한자도 있습니다. 또한 중국 일본과는 다른 필순으로 쓰는 한자도 있습니다.
※ 飛의 행서체와 바른 필순.
필순의 기본 원칙 1. 위에서 아래로 쓴다 : 二, 三, 工, 言, 高 2.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: 川, 州, 仁, 外, 好 3. 가로 획과 세로 획이 교차될 때, 가로 획을 먼저 쓴다 : 十, 木, 古, 支, 甘 4. 좌우 삐침과 파임이 교차할 때, 삐침부터 쓴다 : 人, 文, 父, 交, 合 5.左(좌) 右(우) 대칭일 때, 가운데 먼저 쓴다 : 小, 水, 樂 (예외) 가운데를 나중에 쓴다 : 火, 情 6. 바깥쪽과 안쪽이 있을 때, 바깥쪽 먼저 쓴다 : 內, 因, 同, 司, 回 (예외) 우측이 터진 경우는 다르다 : 區, 匹, 臣 7. 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: 右, 布, 希, 有 8. 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: 左, 友, 在 9. 꿰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: 車, 中, 手, 筆, 女, 母 (예외) 가로획부터 쓴다 : 世 10. 오른쪽 위의 점은 맨 나중에 쓴다 : 成, 犬, 代, 式 11. 책받침은 나중에 쓴다 : 建, 道, 造, 連 해솔한문
|